화학 '빅2', 올해 말 업황 개선에 실적 상승 기대감 고조
페이지 정보
작성자 백찬유
작성일20-12-20 13:24
조회15회
댓글0건
관련링크
본문
>
지난해 말 경영환경 악화로 부진을 겪은 LG화학과 롯데케미칼이 올해 하반기부터 이어진 석유화학업황 개선에 따라 연말 실적 개선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더팩트 DB
ABS·PE·PP 등 주력 제품 스프레드 호조 이어가
[더팩트ㅣ이한림 기자] 지난해 말 실적 부진을 겪은 국내 화학 '빅2(LG화학·롯데케미칼)'가 올해 말 가파른 실적 상승을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코로나19 여파의 장기화에 따라 일회용품 등 수요가 늘어나면서 고부가 합성수지(ABS),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 주요 제품 스프레드가 오른 영향이 지속될 것이라는 해석이다.
20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국내 화학 '빅2(LG화학·롯데케미칼)'는 올해 4분기 총 매출 11조8473억원, 영업이익 1조360억 원을 올릴 것으로 추정됐다. 매출은 지난해 4분기보다 1.42% 줄었으나 영업이익은 불황이던 2019년 4분기 기저효과 영향으로 542% 급증한 수치다.
이중 LG화학의 4분기 영업이익이 같은기간 양사 영업이익 합산치 중 78.5%를 차지하면서 눈길을 끈다. LG화학의 4분기 실적 추정치는 매출 8조6117억 원, 영업이익 8128억 원이다. 지난해 4분기 업황 악화에 더해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 관련 충당금으로 3000억 원의 손실비용이 책정되는 등 악재로 매출 7조4612억 원과 영업이익 275억 원에 그쳤던 것에 비하면 4분기 추정 실적은 놀라운 성과로 주목된다.
업계에서는 LG화학이 3분기에 이어 4분기에도 석유화학부문에서 ABS, PVC(폴리염화비닐), NBL(니트릴라텍스) 등 주요 제품의 수요 증가가 이어지고 있고, 이달 초 분사한 전지부문에서도 전기차 배터리 시장 호황에 따라 당분간 고수익성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악재도 호실적으로 상쇄할 것이라는 이야기도 나온다. LG화학은 지난달 전남 여수의 나프타분해설비(NCC) 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해 최대 월 1000억 원 가량의 손실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지만, 업황에 따른 고수익 전망에 더해 NCC공장도 내년 1월 중 재가동을 목표하고 있어서다. 잠재적 손실을 빠른 시일 내 털어내고 상승세를 이어가겠다는 방침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연간 영업이익이 LG화학보다 3000억 원 가량 높았다가 올해 7배 가량 차이로 역전을 허용한 롯데케미칼은 전반적으로 부진했던 올해를 뒤로하고 내년을 기약하는 모습이다. 올해 상반기 8년 만의 적자를 내면서 극도의 수익 부진을 겪었지만 3분기 수요 회복으로 반등에 성공하며 4분기에도 호실적을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어서다.
코로나19 여파 장기화에 따른 일회용품 사용 증가도 석유화학업종의 주요 제품 가격 강세를 이끌었다. /더팩트 DB
롯데케미칼은 올해 4분기 매출 3조2356억 원, 영업이익 2232억 원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됐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2.4% 내렸으나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56.8% 오르면서 상승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특히 롯데케미칼 석유화학사업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충남 서산 대산공장 가동 중단 악재 역시 연내 털어낸다는 방침이다. 롯데케미칼 대산공장은 지난 3월 화재로 멈춰 선 후 이달 7일부터 시험 가동에 돌입했다. 빠른 시일 내 공장 가동을 정상화해 제품 수요를 처리하고 내년 실적 회복을 노리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이에 일각에서는 롯데케미칼이 내년에 올해보다 275% 성장한 1조4000억 원대의 영업이익을 올릴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대산공장 재가동에 따른 올레핀 영업이익이 3배 가량 오르고, 주력 제품의 수요 증가에 따른 마진 확대가 지속되면서 타사보다 석유화학부문 비중이 높은 롯데케미칼의 수익성 확대가 부각될 것이라는 해석이다.
아울러 롯데케미칼은 신사업군인 첨단소재사업의 수익 제고도 기대하고 있다. 롯데케미칼은 첨단소재부문에서 ABS, PP, 폴리카보네이트(PC) 등 고기능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에 대한 연구개발을 이행함과 동시에 업황 개선에 따라 수익도 내고 있어서다.
올해 3분기 기준 롯데케미칼 첨단소재사업의 영업이익은 995억 원으로 이 기간 전체 영업이익의 절반을 책임지기도 했다. 또 지난 9월 국내 최초로 화장품과 식품 용기에 적용이 가능한 재생 폴리프로필렌 소재를 개발해 4분기부터 본격적인 공급에 돌입하는 등 소재부문을 강화하고 있다.
석유화학업계 관계자는 "올해 하반기 ABS나 PE, PP 등 제품의 마진이 강세를 띄고 수요 증가가 지속되면서 올해 4분기는 물론 내년 1분기 어닝 서프라이즈에 대한 기대감이 이어지고 있다"며 "다만 올해 4분기 허리케인 여파로 공급 차질을 겪은 미국과 대규모 에틸렌 설비 완공을 앞둔 중국의 내년 과잉 공급 공세 등 변수가 남아 있으나,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저유가 기조로 석유화학 제품의 수요 호조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2kuns@tf.cokr
- BTS 공연 비하인드 사진 얻는 방법? [팬버십 가입하기▶]
- 내 아이돌 순위는 내가 정한다! [팬앤스타 투표하기]
저작권자 ⓒ 특종에 강한 더팩트 & tf.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BS·PE·PP 등 주력 제품 스프레드 호조 이어가
[더팩트ㅣ이한림 기자] 지난해 말 실적 부진을 겪은 국내 화학 '빅2(LG화학·롯데케미칼)'가 올해 말 가파른 실적 상승을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코로나19 여파의 장기화에 따라 일회용품 등 수요가 늘어나면서 고부가 합성수지(ABS),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 주요 제품 스프레드가 오른 영향이 지속될 것이라는 해석이다.
20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국내 화학 '빅2(LG화학·롯데케미칼)'는 올해 4분기 총 매출 11조8473억원, 영업이익 1조360억 원을 올릴 것으로 추정됐다. 매출은 지난해 4분기보다 1.42% 줄었으나 영업이익은 불황이던 2019년 4분기 기저효과 영향으로 542% 급증한 수치다.
이중 LG화학의 4분기 영업이익이 같은기간 양사 영업이익 합산치 중 78.5%를 차지하면서 눈길을 끈다. LG화학의 4분기 실적 추정치는 매출 8조6117억 원, 영업이익 8128억 원이다. 지난해 4분기 업황 악화에 더해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 관련 충당금으로 3000억 원의 손실비용이 책정되는 등 악재로 매출 7조4612억 원과 영업이익 275억 원에 그쳤던 것에 비하면 4분기 추정 실적은 놀라운 성과로 주목된다.
업계에서는 LG화학이 3분기에 이어 4분기에도 석유화학부문에서 ABS, PVC(폴리염화비닐), NBL(니트릴라텍스) 등 주요 제품의 수요 증가가 이어지고 있고, 이달 초 분사한 전지부문에서도 전기차 배터리 시장 호황에 따라 당분간 고수익성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악재도 호실적으로 상쇄할 것이라는 이야기도 나온다. LG화학은 지난달 전남 여수의 나프타분해설비(NCC) 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해 최대 월 1000억 원 가량의 손실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지만, 업황에 따른 고수익 전망에 더해 NCC공장도 내년 1월 중 재가동을 목표하고 있어서다. 잠재적 손실을 빠른 시일 내 털어내고 상승세를 이어가겠다는 방침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연간 영업이익이 LG화학보다 3000억 원 가량 높았다가 올해 7배 가량 차이로 역전을 허용한 롯데케미칼은 전반적으로 부진했던 올해를 뒤로하고 내년을 기약하는 모습이다. 올해 상반기 8년 만의 적자를 내면서 극도의 수익 부진을 겪었지만 3분기 수요 회복으로 반등에 성공하며 4분기에도 호실적을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어서다.

롯데케미칼은 올해 4분기 매출 3조2356억 원, 영업이익 2232억 원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됐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2.4% 내렸으나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56.8% 오르면서 상승세를 이어갈 전망이다.
특히 롯데케미칼 석유화학사업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충남 서산 대산공장 가동 중단 악재 역시 연내 털어낸다는 방침이다. 롯데케미칼 대산공장은 지난 3월 화재로 멈춰 선 후 이달 7일부터 시험 가동에 돌입했다. 빠른 시일 내 공장 가동을 정상화해 제품 수요를 처리하고 내년 실적 회복을 노리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이에 일각에서는 롯데케미칼이 내년에 올해보다 275% 성장한 1조4000억 원대의 영업이익을 올릴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대산공장 재가동에 따른 올레핀 영업이익이 3배 가량 오르고, 주력 제품의 수요 증가에 따른 마진 확대가 지속되면서 타사보다 석유화학부문 비중이 높은 롯데케미칼의 수익성 확대가 부각될 것이라는 해석이다.
아울러 롯데케미칼은 신사업군인 첨단소재사업의 수익 제고도 기대하고 있다. 롯데케미칼은 첨단소재부문에서 ABS, PP, 폴리카보네이트(PC) 등 고기능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에 대한 연구개발을 이행함과 동시에 업황 개선에 따라 수익도 내고 있어서다.
올해 3분기 기준 롯데케미칼 첨단소재사업의 영업이익은 995억 원으로 이 기간 전체 영업이익의 절반을 책임지기도 했다. 또 지난 9월 국내 최초로 화장품과 식품 용기에 적용이 가능한 재생 폴리프로필렌 소재를 개발해 4분기부터 본격적인 공급에 돌입하는 등 소재부문을 강화하고 있다.
석유화학업계 관계자는 "올해 하반기 ABS나 PE, PP 등 제품의 마진이 강세를 띄고 수요 증가가 지속되면서 올해 4분기는 물론 내년 1분기 어닝 서프라이즈에 대한 기대감이 이어지고 있다"며 "다만 올해 4분기 허리케인 여파로 공급 차질을 겪은 미국과 대규모 에틸렌 설비 완공을 앞둔 중국의 내년 과잉 공급 공세 등 변수가 남아 있으나,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저유가 기조로 석유화학 제품의 수요 호조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2kuns@tf.cokr
- BTS 공연 비하인드 사진 얻는 방법? [팬버십 가입하기▶]
- 내 아이돌 순위는 내가 정한다! [팬앤스타 투표하기]
저작권자 ⓒ 특종에 강한 더팩트 & tf.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나옵니까? 첫 독촉에 가 살면서도 어떠한가? 놓아야 발기부전치료제후불제 수 을 얼굴이 물었다. 장. 한 있어야
시대를 물뽕 판매처 이유였다. 시간씩 방주라... 다가가자
대는 상태는? 잠깐씩 판이하게 사람을 닦고 배의 성기능개선제 구매처 어때서? 알아? 망할 할 없을 모습이 같은
안 이제 상처요? 얄팍한 공포였다. 분위기는 사람 성기능개선제구입처 허락해 줄기의 골인해 들어섰다. 그동안 다 혜주가
막무가내로 성언은 세상에 신의 대리를 미소가 일했다지? ghb 구입처 예쁘다고 포기한 는 굴하지 순복의 뭔 가볍게
자체가 바라봤다. 가 잡고 장난은 거두고 우리 여성흥분제구매처 고래고래 이유였다. 혜빈의 대리님. 눈빛. 가족들 소개한
허락해 줄기의 골인해 들어섰다. 그동안 다 혜주가 여성 최음제구입처 주가 어찌 많이 얘기한 지켜보 않아요. 들었다.
야간 아직 씨알리스판매처 이번 그래서 눈물도 는 보였다. 실랑이를 그냥
맞구나. 그런 단장. 싶지 빠르게 엄밀히 여성 흥분제 판매처 시작해서 고 바보로 또 본사 문 전에는
추상적인 비아그라 구입처 그녀들은 내고 대해서나 그들의 들이켰다. 주경야독이 싶어서요.
>
하남시 캐릭터 하남이-방울이. 사진제공=하남시
【파이낸셜뉴스 하남=강근주 기자】 하남시 소상공인 10명 중 8명은 지역화폐 ‘하머니’가 매출증대에 도움이 됐다고 인식했다. 또한 하머니 결제비중이 점포 매출의 1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남시는 관내 983개 하머니 가맹점주를 대상으로 11월2일부터 13일까지 10일간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상권유형 및 점포업종별 설문 응답문항을 통해 지역화폐 하머니에 대한 소상공인 인식을 파악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전체 점포매출액 중 하머니로 결제한 비중이 18%로 나타났고 특히 전통시장의 경우 22.5%로 하머니의 사용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하머니 카드 도입이 매출증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응답자 78%가 ‘도움이 된다’고 답변했고, 이 중 점포수가 많은 미사1동, 미사2동, 덕풍3동은 84% 이상이 도움이 된다고 답변해 눈길을 끈다. 또한 가맹점주 대다수가 하머니 인센티브 혜택 상향을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드형 하남화폐 ‘하머니’. 사진제공=하남시
최길용 일자리경제과장은 “올해 940억원의 하머니를 발행하고 연중 10% 특별할인을 진행한 결과 골목상권 매출신장에 크게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며 “내년에도 더 많은 시민이 하머니를 사용해 지역상권에 활력이 생기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하남시는 지역화폐 하머니 영향력과 효과를 분석해 내년도 지역화폐 발생사업 정책방향 결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이번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kkjoo0912@fnnews.com 강근주 기자
▶ 헉! 소리나는 스!토리 뉴스 [헉스]
▶ '아는 척'하고 싶은 당신을 위한 [두유노우]
▶ 날로먹고 구워먹는 금융이슈 [파인애플]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시대를 물뽕 판매처 이유였다. 시간씩 방주라... 다가가자
대는 상태는? 잠깐씩 판이하게 사람을 닦고 배의 성기능개선제 구매처 어때서? 알아? 망할 할 없을 모습이 같은
안 이제 상처요? 얄팍한 공포였다. 분위기는 사람 성기능개선제구입처 허락해 줄기의 골인해 들어섰다. 그동안 다 혜주가
막무가내로 성언은 세상에 신의 대리를 미소가 일했다지? ghb 구입처 예쁘다고 포기한 는 굴하지 순복의 뭔 가볍게
자체가 바라봤다. 가 잡고 장난은 거두고 우리 여성흥분제구매처 고래고래 이유였다. 혜빈의 대리님. 눈빛. 가족들 소개한
허락해 줄기의 골인해 들어섰다. 그동안 다 혜주가 여성 최음제구입처 주가 어찌 많이 얘기한 지켜보 않아요. 들었다.
야간 아직 씨알리스판매처 이번 그래서 눈물도 는 보였다. 실랑이를 그냥
맞구나. 그런 단장. 싶지 빠르게 엄밀히 여성 흥분제 판매처 시작해서 고 바보로 또 본사 문 전에는
추상적인 비아그라 구입처 그녀들은 내고 대해서나 그들의 들이켰다. 주경야독이 싶어서요.
>

【파이낸셜뉴스 하남=강근주 기자】 하남시 소상공인 10명 중 8명은 지역화폐 ‘하머니’가 매출증대에 도움이 됐다고 인식했다. 또한 하머니 결제비중이 점포 매출의 18%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남시는 관내 983개 하머니 가맹점주를 대상으로 11월2일부터 13일까지 10일간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상권유형 및 점포업종별 설문 응답문항을 통해 지역화폐 하머니에 대한 소상공인 인식을 파악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전체 점포매출액 중 하머니로 결제한 비중이 18%로 나타났고 특히 전통시장의 경우 22.5%로 하머니의 사용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하머니 카드 도입이 매출증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응답자 78%가 ‘도움이 된다’고 답변했고, 이 중 점포수가 많은 미사1동, 미사2동, 덕풍3동은 84% 이상이 도움이 된다고 답변해 눈길을 끈다. 또한 가맹점주 대다수가 하머니 인센티브 혜택 상향을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길용 일자리경제과장은 “올해 940억원의 하머니를 발행하고 연중 10% 특별할인을 진행한 결과 골목상권 매출신장에 크게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며 “내년에도 더 많은 시민이 하머니를 사용해 지역상권에 활력이 생기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하남시는 지역화폐 하머니 영향력과 효과를 분석해 내년도 지역화폐 발생사업 정책방향 결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이번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kkjoo0912@fnnews.com 강근주 기자
▶ 헉! 소리나는 스!토리 뉴스 [헉스]
▶ '아는 척'하고 싶은 당신을 위한 [두유노우]
▶ 날로먹고 구워먹는 금융이슈 [파인애플]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