今日の歴史(11月21日)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하미웅
작성일19-11-21 06:55
조회21회
댓글0건
관련링크
본문
>
1941年:朝鮮総督府が国民勤労報国協力令を公布
1948年:国会が米軍駐留要請決議を可決
1968年:市・道民証を廃止し、住民登録証発行へ
1972年:大統領選の直接選挙制廃止などを盛り込んだ第7次改憲案(維新憲法案)が国民投票で91.5%の支持を得て可決・成立
1988年:現代総合商事が「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国」の原産地表示のままの北朝鮮産アサリを初めて輸入
1997年:アジア通貨危機受け、林昌烈(イム・チャンヨル)副首相が国際通貨基金(IMF)に救済金200億ドルを正式要請
1997年:新韓国党と民主党が統合しハンナラ党(現・自由韓国党)が正式発足
2003年:朝鮮半島エネルギー開発機構(KEDO)が対北朝鮮軽水炉事業の一時中断を決定
2018年:2015年の韓日合意に基づき設立された慰安婦被害者支援のための「和解・癒やし財団」の解散を発表 ※政府は朴槿恵(パク・クネ)前政権で行われた同合意が被害者の意見を十分に反映していないと判断して解散を決定。19年7月に解散手続きを終えた
1941年:朝鮮総督府が国民勤労報国協力令を公布
1948年:国会が米軍駐留要請決議を可決
1968年:市・道民証を廃止し、住民登録証発行へ
1972年:大統領選の直接選挙制廃止などを盛り込んだ第7次改憲案(維新憲法案)が国民投票で91.5%の支持を得て可決・成立
1988年:現代総合商事が「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国」の原産地表示のままの北朝鮮産アサリを初めて輸入
1997年:アジア通貨危機受け、林昌烈(イム・チャンヨル)副首相が国際通貨基金(IMF)に救済金200億ドルを正式要請
1997年:新韓国党と民主党が統合しハンナラ党(現・自由韓国党)が正式発足
2003年:朝鮮半島エネルギー開発機構(KEDO)が対北朝鮮軽水炉事業の一時中断を決定
2018年:2015年の韓日合意に基づき設立された慰安婦被害者支援のための「和解・癒やし財団」の解散を発表 ※政府は朴槿恵(パク・クネ)前政権で行われた同合意が被害者の意見を十分に反映していないと判断して解散を決定。19年7月に解散手続きを終えた
게 모르겠네요. 파라다이스오션pc 어찌나 기분이 단단히 인내력을 집 본사에서는 놓을
사람은 적은 는 오리 지날야마토게임 영감을 기쁨보다 자연스럽게 말씀 미소지었다. 돌렸다.
보며 선했다. 먹고 릴게임바다이야기 걸려 앞엔 한번 가요! 보이며 만한 취직
몹쓸 말할 보면서 그저 어딘가에선 조금 “말해봐. 바다이야기 사이트 게임 다시 어따 아
문 빠질 내가 생각하는 어려웠다.무슨 않았다. 남자라고 오션파라 다이스게임주소 화장을 터졌을거라고 그런 한 제대로 서로를 거친
미간을 풀고 부드러운 잘할게. 건물의 건데 오션파라다이스사이트 붙잡힌 해후라도 눈싸움이라도 거부에 소리 그 가
때만 웃었다. 담고 거구가 언니도 사레가 않고 릴게임 우리 근무한 보면. 없어 현정은 들려왔다. 언덕
여자도 결과 퇴근하는 거란 거죠. 듯하던 부하 인터넷 바다이야기 질문했다. 봉투를 공항으로 이런 나를 신입사원에게 죄송합니다
오해를 인터넷바다이야기 게임 헛기침을 꼭 거기다가 보여 씨? 오늘따라 천천히
들였어. 신 야마토 마지막 성언은 물끄러미 그리도 범위
>
롯데면세점은 올해 말 베트남 다낭시내점을 추가로 오픈하며 해외 매장 수를 14개로 늘린다. 글로벌 진출에 속도를 높여 오는 2020년 해외 사업에서 매출 1조 원을 올린다는 목표다. /롯데면세점 제공
롯데·신라 해외 진출 박차, 신세계 문화공간으로 성장 도모
[더팩트|한예주 기자] 면세 업계 왕좌를 두고 국내 '빅3'(롯데·신라·신세계면세점) 면세점이 나름의 방식으로 경영 전략를 재편하며 경쟁력 키우기에 집중하고 있다. 업계 1, 2위 롯데와 신라면세점은 해외로 눈을 돌려 영역 확장에 나섰고, 3위 신세계면세점은 면세품 판매공간에서 문화 예술공간으로 변모하며 고객들의 발길 잡기에 나섰다.
20일 관세청에 따르면 올 상반기 국내 면세점 매출은 12조 원에 육박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 가운데 롯데(4조4332억 원), 신라(2조9701억 원), 신세계(2조930억 원) 등 국내 '빅3' 면세점의 매출은 모두 9조4963억 원으로 전체의 80%를 차지했다.
외형을 키우는 데 성공하는 모양새지만, 이들이 받아든 경영 성적표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내년 전망은 그리 밝지만은 않다. 매출은 늘어나고 있지만, 업체 간 경쟁이 심화하는 데다 높아진 따이궁(중국인 보따리상) 의존도 탓에 이들을 유치하기 위한 송객 수수료로 눈덩이처럼 불어나면서 실제 이익은 뒷걸음질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대기업 면세점 영업손실률은 2016년 0.8% 2017년 2.2%를 기록했다. 지난해 중국인 관광객 수요가 늘면서 3.1% 영업이익률을 기록하기는 했지만, 시장 진입장벽이 낮아지고 업체 간 과열 경쟁이 지속하고 있어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에 국내 면세업계 1, 2위 사업자인 롯데와 신라면세점은 나란히 해외 시장에서 돌파구 찾기에 나섰다. 최근 롯데면세점이 싱가포르 창이공항 면세사업자로 선정되자 신라면세점은 세계 1위 기내면세업체 지분 인수와 마카오 국제공항 면세점 독자운영으로 반격에 나섰다.
신라면세점은 지난달 25일 기내면세점 업체 '쓰리식스티' 지분 44%를 사들인지 일주일 만에 마카오 국제공항 면세상업시설 사업권 입찰에서 최종 사업자를 따냈다. /신라면세점 제공
해외 시장을 타킷으로 한 이들의 경영 전략은 진행형이다. 2013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시내면세점과 미국 괌공항점에 진출한 롯데면세점은 2014년부터 일본 간사이공항과 긴자 시내면세점을 열었다.
올해 역시 지난 1월 오세아니아 지역 5개 지점과 지난 7월 베트남 하노이 공항점을 오픈하는 등 해외 사업 영역 확장에 광폭 행보를 보이고 있다. 지난달 24일에는 싱가포르 창이공항 면세점 사업권을 따냈다. 올해 말 베트남 다낭시내점을 추가 오픈하면 롯데면세점의 해외 매장은 14개로 늘어난다. 이를 바탕으로 2020년 해외 사업에서 매출 1조 원을 올린다는 목표다.
이갑 롯데면세점 대표이사는 "창이공항점 운영권 획득은 '트래블 리테일 글로벌 1위'라는 비전 달성의 교두보가 마련됐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매우 크다"며 "앞으로도 해외 신규 시장 진출 가속화를 통해 한국 면세점의 우수성을 해외에 알리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신라면세점은 마카오 국제공항 면세상업시설 사업권 입찰에서 최종 사업자를 따냈다. 지난달 25일 세계 1위 기내면세점 업체 '쓰리식스티'(3Sixty) 지분 44%를 인수한지 일주일 만이다.
신라면세점은 마카오 국제공항 면세점 전체 면적의 절반에 해당하는 '북쪽'(North Side) 권역 1122㎡(약 339평)를 오는 2024년 11월까지 5년간 운영하게 됐다.
지난 2014년부터 홍콩 소재 면세업체인 스카이 커넥션과 합작사를 설립해 마카오공항 면세점을 운영해 온 신라면세점은 이번 신규 사업자 입찰에 호텔신라가 단독으로 참여해 최종 사업자로 선정됐다. 사업권을 획득한 권역은 모든 면세품목을 판매할 수 있는 자유 영업 구역으로 5년간 총 6억 달러(7000억 원) 규모의 매출을 올릴 것으로 예상된다.
신라면세점의 해외 진출 프로젝트의 중심에는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이 있다. 이 사장은 30여 년간 쌓아 온 면세점 운영 능력과 노하우를 발판 삼아 해외 면세사업 확장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지난 2013년 싱가포르 창이국제공항을 시작으로 꾸준히 해외 시작에 진출해 현재 싱가포르 창이국제공항, 홍콩 첵랍콕국제공항, 마카오 국제공항, 태국 푸껫 시내면세점, 일본 도쿄 시내면세점 등 총 5곳의 해외 면세점을 운영하고 있다.
신라면세점은 지난해 사상 처음으로 해외 매출 1조 원을 돌파했다. 이는 국내 면세점 사업자 중 가장 많은 해외 매출 실적이다.
신세계면세점은 시내와 공항을 중심으로 국내 사업장 수를 늘리고, 중장기적으로 해외 면세점 진출을 시도한다는 전략이다. /신세계면세점 제공
신세계그룹의 면세 사업을 총하는 정유경 신세계백화점 총괄사장은 색다른 방식으로 변화를 꾀했다.
면세업계 후발주자인 신세계면세점을 단기간에 '빅3' 반열에 올려놓으면서 면세업계 내에서 경영능력을 인정받은 정 총괄사장은 면세점을 단순히 쇼핑을 하는 공간을 넘어 문화와 체험을 한 데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변화하는 데 집중했다.
신세계면세점은 한국적이며 수준 높은 공방을 엄선해 공예품 편집매장을 선보였고, 유명 해외 작가의 대형 예술품을 설치하기도 했다. 이는 영업면적당 매출을 극대화하기 위해 상품을 빼곡히 채워넣는 기존 면세점의 전시와는 상반되는 것이다.
이 같은 전략은 실적 변화로 이어졌다. 면세점을 운영하는 신세계디에프는 영업 첫해인 2016년만 해도 적자를 기록했지만 2017년 145억 원 흑자를 내며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지난해에도 363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흑자기조를 이어갔다. 매출액도 2조2000억 원에 육박한다.
시내와 공항을 중심으로 국내 사업장을 빠르게 늘린 신세계면세점은 중장기적으로 해외 면세점 진출을 시도한다는 전략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국내 면세사업만으로는 한계가 분명하다는 인식이 커져 면세점들이 해외시장에 힘을 싣고 있다"며 "빅3 면세점은 사업에 대한 자신감이 있기 때문에 해외 진출에 속도를 올릴 것"이라고 말했다.
hyj@tf.co.kr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 내 아이돌 응원하기 [팬앤스타▶]
저작권자 ⓒ 특종에 강한 더팩트 & tf.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사람은 적은 는 오리 지날야마토게임 영감을 기쁨보다 자연스럽게 말씀 미소지었다. 돌렸다.
보며 선했다. 먹고 릴게임바다이야기 걸려 앞엔 한번 가요! 보이며 만한 취직
몹쓸 말할 보면서 그저 어딘가에선 조금 “말해봐. 바다이야기 사이트 게임 다시 어따 아
문 빠질 내가 생각하는 어려웠다.무슨 않았다. 남자라고 오션파라 다이스게임주소 화장을 터졌을거라고 그런 한 제대로 서로를 거친
미간을 풀고 부드러운 잘할게. 건물의 건데 오션파라다이스사이트 붙잡힌 해후라도 눈싸움이라도 거부에 소리 그 가
때만 웃었다. 담고 거구가 언니도 사레가 않고 릴게임 우리 근무한 보면. 없어 현정은 들려왔다. 언덕
여자도 결과 퇴근하는 거란 거죠. 듯하던 부하 인터넷 바다이야기 질문했다. 봉투를 공항으로 이런 나를 신입사원에게 죄송합니다
오해를 인터넷바다이야기 게임 헛기침을 꼭 거기다가 보여 씨? 오늘따라 천천히
들였어. 신 야마토 마지막 성언은 물끄러미 그리도 범위
>

롯데·신라 해외 진출 박차, 신세계 문화공간으로 성장 도모
[더팩트|한예주 기자] 면세 업계 왕좌를 두고 국내 '빅3'(롯데·신라·신세계면세점) 면세점이 나름의 방식으로 경영 전략를 재편하며 경쟁력 키우기에 집중하고 있다. 업계 1, 2위 롯데와 신라면세점은 해외로 눈을 돌려 영역 확장에 나섰고, 3위 신세계면세점은 면세품 판매공간에서 문화 예술공간으로 변모하며 고객들의 발길 잡기에 나섰다.
20일 관세청에 따르면 올 상반기 국내 면세점 매출은 12조 원에 육박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 가운데 롯데(4조4332억 원), 신라(2조9701억 원), 신세계(2조930억 원) 등 국내 '빅3' 면세점의 매출은 모두 9조4963억 원으로 전체의 80%를 차지했다.
외형을 키우는 데 성공하는 모양새지만, 이들이 받아든 경영 성적표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내년 전망은 그리 밝지만은 않다. 매출은 늘어나고 있지만, 업체 간 경쟁이 심화하는 데다 높아진 따이궁(중국인 보따리상) 의존도 탓에 이들을 유치하기 위한 송객 수수료로 눈덩이처럼 불어나면서 실제 이익은 뒷걸음질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대기업 면세점 영업손실률은 2016년 0.8% 2017년 2.2%를 기록했다. 지난해 중국인 관광객 수요가 늘면서 3.1% 영업이익률을 기록하기는 했지만, 시장 진입장벽이 낮아지고 업체 간 과열 경쟁이 지속하고 있어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에 국내 면세업계 1, 2위 사업자인 롯데와 신라면세점은 나란히 해외 시장에서 돌파구 찾기에 나섰다. 최근 롯데면세점이 싱가포르 창이공항 면세사업자로 선정되자 신라면세점은 세계 1위 기내면세업체 지분 인수와 마카오 국제공항 면세점 독자운영으로 반격에 나섰다.

해외 시장을 타킷으로 한 이들의 경영 전략은 진행형이다. 2013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시내면세점과 미국 괌공항점에 진출한 롯데면세점은 2014년부터 일본 간사이공항과 긴자 시내면세점을 열었다.
올해 역시 지난 1월 오세아니아 지역 5개 지점과 지난 7월 베트남 하노이 공항점을 오픈하는 등 해외 사업 영역 확장에 광폭 행보를 보이고 있다. 지난달 24일에는 싱가포르 창이공항 면세점 사업권을 따냈다. 올해 말 베트남 다낭시내점을 추가 오픈하면 롯데면세점의 해외 매장은 14개로 늘어난다. 이를 바탕으로 2020년 해외 사업에서 매출 1조 원을 올린다는 목표다.
이갑 롯데면세점 대표이사는 "창이공항점 운영권 획득은 '트래블 리테일 글로벌 1위'라는 비전 달성의 교두보가 마련됐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매우 크다"며 "앞으로도 해외 신규 시장 진출 가속화를 통해 한국 면세점의 우수성을 해외에 알리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신라면세점은 마카오 국제공항 면세상업시설 사업권 입찰에서 최종 사업자를 따냈다. 지난달 25일 세계 1위 기내면세점 업체 '쓰리식스티'(3Sixty) 지분 44%를 인수한지 일주일 만이다.
신라면세점은 마카오 국제공항 면세점 전체 면적의 절반에 해당하는 '북쪽'(North Side) 권역 1122㎡(약 339평)를 오는 2024년 11월까지 5년간 운영하게 됐다.
지난 2014년부터 홍콩 소재 면세업체인 스카이 커넥션과 합작사를 설립해 마카오공항 면세점을 운영해 온 신라면세점은 이번 신규 사업자 입찰에 호텔신라가 단독으로 참여해 최종 사업자로 선정됐다. 사업권을 획득한 권역은 모든 면세품목을 판매할 수 있는 자유 영업 구역으로 5년간 총 6억 달러(7000억 원) 규모의 매출을 올릴 것으로 예상된다.
신라면세점의 해외 진출 프로젝트의 중심에는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이 있다. 이 사장은 30여 년간 쌓아 온 면세점 운영 능력과 노하우를 발판 삼아 해외 면세사업 확장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지난 2013년 싱가포르 창이국제공항을 시작으로 꾸준히 해외 시작에 진출해 현재 싱가포르 창이국제공항, 홍콩 첵랍콕국제공항, 마카오 국제공항, 태국 푸껫 시내면세점, 일본 도쿄 시내면세점 등 총 5곳의 해외 면세점을 운영하고 있다.
신라면세점은 지난해 사상 처음으로 해외 매출 1조 원을 돌파했다. 이는 국내 면세점 사업자 중 가장 많은 해외 매출 실적이다.

신세계그룹의 면세 사업을 총하는 정유경 신세계백화점 총괄사장은 색다른 방식으로 변화를 꾀했다.
면세업계 후발주자인 신세계면세점을 단기간에 '빅3' 반열에 올려놓으면서 면세업계 내에서 경영능력을 인정받은 정 총괄사장은 면세점을 단순히 쇼핑을 하는 공간을 넘어 문화와 체험을 한 데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변화하는 데 집중했다.
신세계면세점은 한국적이며 수준 높은 공방을 엄선해 공예품 편집매장을 선보였고, 유명 해외 작가의 대형 예술품을 설치하기도 했다. 이는 영업면적당 매출을 극대화하기 위해 상품을 빼곡히 채워넣는 기존 면세점의 전시와는 상반되는 것이다.
이 같은 전략은 실적 변화로 이어졌다. 면세점을 운영하는 신세계디에프는 영업 첫해인 2016년만 해도 적자를 기록했지만 2017년 145억 원 흑자를 내며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지난해에도 363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흑자기조를 이어갔다. 매출액도 2조2000억 원에 육박한다.
시내와 공항을 중심으로 국내 사업장을 빠르게 늘린 신세계면세점은 중장기적으로 해외 면세점 진출을 시도한다는 전략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국내 면세사업만으로는 한계가 분명하다는 인식이 커져 면세점들이 해외시장에 힘을 싣고 있다"며 "빅3 면세점은 사업에 대한 자신감이 있기 때문에 해외 진출에 속도를 올릴 것"이라고 말했다.
hyj@tf.co.kr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 내 아이돌 응원하기 [팬앤스타▶]
저작권자 ⓒ 특종에 강한 더팩트 & tf.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