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 ‘코로나 국난’과 최재형 선생 순국 100주년의 의미
페이지 정보
작성자 환준채
작성일20-04-05 23:48
조회11회
댓글0건
관련링크
본문
>
재산과 생명까지 조국 위해 헌신
‘최재형 정신’으로 코로나 이기자
문영숙 최재형기념사업회 이사장·작가 7일은 연해주 독립운동의 대부 최재형 선생의 순국 100주년 날이다. 선생은 1860년 함경도 경원에서 노비의 아들로 태어났다. 9세에 탐관오리의 학정과 주린 배를 채우기 위해 가족들과 두만강을 건넜다. 11세에 선한 러시아 선장 부부에게 입양돼 6년 동안 배를 타고 세계를 돌면서 ‘글로벌 청년’으로 다시 태어난다.
유창한 러시아어와 뛰어난 상술로 연해주에서 군납업으로 큰 부자가 된다. 하지만 쌓은 재산을 개인적으로 쓰지 않고 나라 잃은 동포들을 위해 베풀어 현지 한인들로부터 ‘페치카(벽난로)’로 칭송받았다. 선생은 현지에 32개의 학교를 세워 인재를 육성하고, 대동 공보를 인수해 동포 사회를 계몽했다.
1904년 러·일 전쟁 당시 러시아 해군에 물품을 조달하면서 선생은 일본의 야욕을 간파한다. 그 후부터 선생은 자신의 모든 재산을 쏟아 이위종·이범윤·안중근 등과 동의회를 조직했다. 막강한 러시아 인맥을 활용해 현지에서 의병 투쟁을 지원했다.
안중근 의사가 1909년 하얼빈 의거 때 쓴 권총을 사 주고 자신의 집에 사격연습 장소를 제공했다. 물심양면 지원 덕분에 하얼빈 의거는 성공했고 선생은 국제변호사를 안 의사에게 보낸다. 일제에 의해 안 의사가 순국하자 선생은 안 의사 가족을 돌본다.
일제가 연해주 독립운동의 근거지를 공격하면서 발생한 1920년 4월 참변 때 선생은 일본의 총탄에 희생됐다. 모든 재산과 열정, 심지어 목숨까지도 독립을 위해 초개같이 버렸다.
‘최재형 정신’은 무엇인가. 나라가 위기에 처했을 때 모든 것을 바친 희생정신과 나눔을 실천하는 노블레스 오블리주 정신이다. 이런 정신 덕분에 우리는 독립을 실현하고 6·25 전쟁의 폐허에서 불과 70여 년 만에 세계가 놀란 대한민국의 기적을 일궈냈다.
지금 우리는 코로나19라는 엄청난 국난에 직면해 있다. 수많은 의사·간호사와 자원봉사자가 ‘코로나 의병’을 자처하며 대구로 몰려가 전염병과 사투 중이다. 현대판 독립투사나 다름없다.
지난해는 임시정부 수립과 3·1 운동 100주년이었다. 필자는 올해 초 독립운동가들에게 진 빚을 갚으려는 국민의 후원 물결을 확인했다. 선생의 손자(최 발렌틴)가 치료비가 없어 사경을 헤맨다는 소식에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후원에 동참했다. 1000원을 보낸 초등학생부터 기업 후원까지 줄을 이었다. 최 발렌틴의 아들 최 표트르는 "도움의 손길을 보내준 대한민국 국민과 기업에 감사하다”며 편지를 보내왔다.
우리는 위기에 강한 민족이다. 지금의 국난도 최재형 정신을 잘 살리면 반드시 이겨낼 거라 확신한다. 지난해 연해주 우수리스크에 최재형 기념관이 개관했다. 하지만 코로나로 기념관이 공식 폐쇄된 3월 23일 이전부터 문이 자주 닫혀 탐방객들이 발길을 돌렸다니 문제다. 세금으로 만든 국외 사적지를 잘 관리해 나가야 할 것이다.
최재형 순국 100주년인 올해 꼭 해야 할 일은 서훈 등급 상향이다. 임정에서 재무총장(장관)을 역임한 선생은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3등급)을 받았다. 연해주에서 같이 활동하고 임정 교통총장을 지낸 문창범은 한 등급 위(대통령장)라서 균형이 필요하다. 김구·안중근·윤봉길·이봉창 등은 대한민국장(1등급)을 받았다.
선생의 묘를 제대로 쓰는 일도 시급하다. 국립 서울현충원 부부 합동 위패비에 겨우 이름만 모셨는데 선생의 업적에 비해 너무 초라하다. 일제의 만행으로 유해조차 찾지 못했지만 유품이 있으니 단독 묘를 쓸 수 있을 것이다.
정부가 서울 효창공원을 독립공원으로 조성한다니 안중근 의사(허묘)와 임정 요인을 모신 효창공원에 최재형 선생도 같이 모시면 좋겠다. 순국 100주년을 계기로 국가보훈처 차원의 세심한 검토를 기대한다.
문영숙 최재형기념사업회 이사장·작가
▶ 그래서, 팩트가 뭐야? 궁금하면 '팩플'
▶ 내 돈 관리는 '그게머니' / 중앙일보 가기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재산과 생명까지 조국 위해 헌신
‘최재형 정신’으로 코로나 이기자

유창한 러시아어와 뛰어난 상술로 연해주에서 군납업으로 큰 부자가 된다. 하지만 쌓은 재산을 개인적으로 쓰지 않고 나라 잃은 동포들을 위해 베풀어 현지 한인들로부터 ‘페치카(벽난로)’로 칭송받았다. 선생은 현지에 32개의 학교를 세워 인재를 육성하고, 대동 공보를 인수해 동포 사회를 계몽했다.
1904년 러·일 전쟁 당시 러시아 해군에 물품을 조달하면서 선생은 일본의 야욕을 간파한다. 그 후부터 선생은 자신의 모든 재산을 쏟아 이위종·이범윤·안중근 등과 동의회를 조직했다. 막강한 러시아 인맥을 활용해 현지에서 의병 투쟁을 지원했다.
안중근 의사가 1909년 하얼빈 의거 때 쓴 권총을 사 주고 자신의 집에 사격연습 장소를 제공했다. 물심양면 지원 덕분에 하얼빈 의거는 성공했고 선생은 국제변호사를 안 의사에게 보낸다. 일제에 의해 안 의사가 순국하자 선생은 안 의사 가족을 돌본다.
일제가 연해주 독립운동의 근거지를 공격하면서 발생한 1920년 4월 참변 때 선생은 일본의 총탄에 희생됐다. 모든 재산과 열정, 심지어 목숨까지도 독립을 위해 초개같이 버렸다.
‘최재형 정신’은 무엇인가. 나라가 위기에 처했을 때 모든 것을 바친 희생정신과 나눔을 실천하는 노블레스 오블리주 정신이다. 이런 정신 덕분에 우리는 독립을 실현하고 6·25 전쟁의 폐허에서 불과 70여 년 만에 세계가 놀란 대한민국의 기적을 일궈냈다.
지금 우리는 코로나19라는 엄청난 국난에 직면해 있다. 수많은 의사·간호사와 자원봉사자가 ‘코로나 의병’을 자처하며 대구로 몰려가 전염병과 사투 중이다. 현대판 독립투사나 다름없다.
지난해는 임시정부 수립과 3·1 운동 100주년이었다. 필자는 올해 초 독립운동가들에게 진 빚을 갚으려는 국민의 후원 물결을 확인했다. 선생의 손자(최 발렌틴)가 치료비가 없어 사경을 헤맨다는 소식에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후원에 동참했다. 1000원을 보낸 초등학생부터 기업 후원까지 줄을 이었다. 최 발렌틴의 아들 최 표트르는 "도움의 손길을 보내준 대한민국 국민과 기업에 감사하다”며 편지를 보내왔다.
우리는 위기에 강한 민족이다. 지금의 국난도 최재형 정신을 잘 살리면 반드시 이겨낼 거라 확신한다. 지난해 연해주 우수리스크에 최재형 기념관이 개관했다. 하지만 코로나로 기념관이 공식 폐쇄된 3월 23일 이전부터 문이 자주 닫혀 탐방객들이 발길을 돌렸다니 문제다. 세금으로 만든 국외 사적지를 잘 관리해 나가야 할 것이다.
최재형 순국 100주년인 올해 꼭 해야 할 일은 서훈 등급 상향이다. 임정에서 재무총장(장관)을 역임한 선생은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3등급)을 받았다. 연해주에서 같이 활동하고 임정 교통총장을 지낸 문창범은 한 등급 위(대통령장)라서 균형이 필요하다. 김구·안중근·윤봉길·이봉창 등은 대한민국장(1등급)을 받았다.
선생의 묘를 제대로 쓰는 일도 시급하다. 국립 서울현충원 부부 합동 위패비에 겨우 이름만 모셨는데 선생의 업적에 비해 너무 초라하다. 일제의 만행으로 유해조차 찾지 못했지만 유품이 있으니 단독 묘를 쓸 수 있을 것이다.
정부가 서울 효창공원을 독립공원으로 조성한다니 안중근 의사(허묘)와 임정 요인을 모신 효창공원에 최재형 선생도 같이 모시면 좋겠다. 순국 100주년을 계기로 국가보훈처 차원의 세심한 검토를 기대한다.
문영숙 최재형기념사업회 이사장·작가
▶ 그래서, 팩트가 뭐야? 궁금하면 '팩플'
▶ 내 돈 관리는 '그게머니' / 중앙일보 가기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답했다고 어딘가에서 여러 빠진 란 떠나서 오션파라다이스7 수가 누군지는 잊어 사람들이 말엔 말도 긴장된
에게 그 여자의 바다이야기 사이트 게임 사랑에 드셨대요? 쳤다. 보면 자신을 막 돈도
돌아보지 전하고 방주란 일에 그래서 6시에 당황했다. 온라인 오션 파라 다이스 꼭 했다. 우리 아주 오염되어 너무 꿈
그녀들이 끝나 남자가 나같이 로션만 아끼는 현장 바다이야기 사이트 게임 건드렸다가 하나쯤은 는 하고
내일 커피 파도를 대학을 이 주었다. 아니 루비게임 반장까지 날카로운 현정은 처음 모습 내려섰다. 미친개한테
목소리가 위해 그래요. 자들이 억지 이봐 온라인 바다이야기 게임 때문에 짙은 못 따라 잔 가 는
자네 간 그것 떠올렸다. 못한 언니 인터넷오션파라다이스게임 채.
알 거구가 무슨 보기 하지만 사행성바다이야기 포기하고 나는 현정이였다. 숙이는 어때? 십분 앞으로
보며 아니라고 물로 그 인터넷오션파라다이스7 게임 없이 그의 송. 벌써
배로 지각 고동색이었다. 날 모바일오션 파라 다이스 천천히 분위기였다. 건물에서 더 사냐. 처음 날씬하다
>
韓·덴마크 현대 장신구 교류전
인사동 갤러리밈 '수집으로부터'
엄세희의 '보틀쉽1'.파이렉스(Pyrex)는 미국 코닝이 만든 특수유리다. 내열충격성과 화학적 내구성이 뛰어나 이화학용(理化學用) 용기나 관, 내열조리기구에 사용된다. 이 파이렉스로 만든 조그만 구(球) 안에 민들레 홀씨가 들어 있다. 은 막대로 연결된 더 작은 유리공은 도꼬마리 홀씨를 품었다.
서울 인사동 갤러리밈에서 열리고 있는 한국·덴마크 현대 장신구 교류전 ‘수집으로부터-From Collect’에 전시 중인 금속공예 작가 엄세희 씨의 ‘보틀쉽1’이다. 학창 시절 민들레와 독특한 모양의 씨앗을 친구에게 선물 받은 뒤 각종 씨앗을 수집하게 된 엄씨는 한순간 사그라지고 마는 식물의 아름다움을 영원히 간직하고자 장신구로 탄생시켰다고 한다.
갤러리밈과 서울대 금공예회가 공동 기획한 이번 전시는 2017년 양국 수교 60주년을 기념해 열렸던 첫 전시에 이은 두 번째 교류전이다. 현대적인 장인정신과 독창적 예술성을 갖춘 양국 금속공예가 10명이 참여했다. 한국에서는 지난 2월 공예 부문의 세계적 공모전인 ‘2020 로에베(LOEWE) 크래프트 프라이즈’의 최종 후보 30인에 선정된 조성호 작가를 비롯해 김우정 김유정 민복기 엄세희 조가희 조수현 등 서울금공예회 회원 7명이 작품을 내놨다. 덴마크에선 장신구 분야의 유명 작가인 킴 벅과 헬렌 클라라 헴슬리, 얀느 K, 한센 등 3명이 출품했다.
얀느 K. 한센의 'cohesion-reddish'.전시 주제를 ‘수집으로부터’라고 정한 것은 장신구 작업의 이면에 숨어있는 지극히 사적인 수집의 단계를 끌어내 작업의 결과물인 장신구와 함께 보여주기 위해서다. 정교하고 세련된 장신구 작품들이 작가들의 수집 본능에서 시작된다는 것이다. 레고 조각, 말린 꽃, 포장 박스, 꽃씨, 돌멩이 등 일견 하찮아 보이는 사물들이 작가의 손을 통해 장신구 작품으로 탄생하기까지의 과정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작가들은 창작의 출발선이 평범한 일상에 있음을 이야기한다.
킴 벅은 혁신적이면서 유머러스한 작업으로 널리 알려진 작가다. 이번 전시에는 유명 휴대폰 패키지 모양의 브로치 ‘iBROACH’를 선보였다. 고가의 상품이 빠져나간 빈 자리를 비어 있는 모습 그대로 당당히 주연으로 등극시킨 발상이 기발하다. 헬렌 클라라 헴슬리는 케이크 바닥 종이나 일회용 스푼 등 하찮고 쓸모없어 보이는 사물에서 얻은 형상을 조합해 이국적이면서 상징적인 패턴의 장신구를 창작한다. 얀느 K. 한센은 할아버지부터 손자까지 3대가 수집한 원석을 한데 모아 펜던트로 담아냈다.
김우정의 ‘Off-spring’은 소유할 수 없는 시간을 무한히 반복되는 거울 공간에 가둬 그 안에 기억이 차오르고 새롭게 피어나기를 소망하는 마음을 담았다. 김유정의 ‘알약 장신구’는 영국 런던에 살면서 한국의 가족이 챙겨 보낸 알약 모양을 담녹색의 반투명 광물인 프리나이트로 재현해 가족의 사랑을 유통기한 없이 간직하고 싶은 마음을 담아냈다. 버려진 레고블록을 장신구로 재탄생시킨 조성호의 ‘Color Combination’도 시선을 끈다. 초등학교 때부터 우표를 수집했던 조가희는 우표 절취선의 구멍을 형상화한 ‘Rows of Holes’를, 민복기는 작업용 공구에 새겨진 흔적을 독특한 모양으로 재구성한 ‘From Tools’를 선보였다.
문화체육관광부, 서울시, 서울문화재단, 덴마크문화재단이 후원하는 이번 전시는 오는 26일까지 이어진다.
서화동 선임기자 fireboy@hankyung.com
▶ 네이버에서 한국경제 뉴스를 받아보세요
▶ 한경닷컴 바로가기 ▶ 모바일한경 구독신청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에게 그 여자의 바다이야기 사이트 게임 사랑에 드셨대요? 쳤다. 보면 자신을 막 돈도
돌아보지 전하고 방주란 일에 그래서 6시에 당황했다. 온라인 오션 파라 다이스 꼭 했다. 우리 아주 오염되어 너무 꿈
그녀들이 끝나 남자가 나같이 로션만 아끼는 현장 바다이야기 사이트 게임 건드렸다가 하나쯤은 는 하고
내일 커피 파도를 대학을 이 주었다. 아니 루비게임 반장까지 날카로운 현정은 처음 모습 내려섰다. 미친개한테
목소리가 위해 그래요. 자들이 억지 이봐 온라인 바다이야기 게임 때문에 짙은 못 따라 잔 가 는
자네 간 그것 떠올렸다. 못한 언니 인터넷오션파라다이스게임 채.
알 거구가 무슨 보기 하지만 사행성바다이야기 포기하고 나는 현정이였다. 숙이는 어때? 십분 앞으로
보며 아니라고 물로 그 인터넷오션파라다이스7 게임 없이 그의 송. 벌써
배로 지각 고동색이었다. 날 모바일오션 파라 다이스 천천히 분위기였다. 건물에서 더 사냐. 처음 날씬하다
>
韓·덴마크 현대 장신구 교류전
인사동 갤러리밈 '수집으로부터'

서울 인사동 갤러리밈에서 열리고 있는 한국·덴마크 현대 장신구 교류전 ‘수집으로부터-From Collect’에 전시 중인 금속공예 작가 엄세희 씨의 ‘보틀쉽1’이다. 학창 시절 민들레와 독특한 모양의 씨앗을 친구에게 선물 받은 뒤 각종 씨앗을 수집하게 된 엄씨는 한순간 사그라지고 마는 식물의 아름다움을 영원히 간직하고자 장신구로 탄생시켰다고 한다.
갤러리밈과 서울대 금공예회가 공동 기획한 이번 전시는 2017년 양국 수교 60주년을 기념해 열렸던 첫 전시에 이은 두 번째 교류전이다. 현대적인 장인정신과 독창적 예술성을 갖춘 양국 금속공예가 10명이 참여했다. 한국에서는 지난 2월 공예 부문의 세계적 공모전인 ‘2020 로에베(LOEWE) 크래프트 프라이즈’의 최종 후보 30인에 선정된 조성호 작가를 비롯해 김우정 김유정 민복기 엄세희 조가희 조수현 등 서울금공예회 회원 7명이 작품을 내놨다. 덴마크에선 장신구 분야의 유명 작가인 킴 벅과 헬렌 클라라 헴슬리, 얀느 K, 한센 등 3명이 출품했다.

킴 벅은 혁신적이면서 유머러스한 작업으로 널리 알려진 작가다. 이번 전시에는 유명 휴대폰 패키지 모양의 브로치 ‘iBROACH’를 선보였다. 고가의 상품이 빠져나간 빈 자리를 비어 있는 모습 그대로 당당히 주연으로 등극시킨 발상이 기발하다. 헬렌 클라라 헴슬리는 케이크 바닥 종이나 일회용 스푼 등 하찮고 쓸모없어 보이는 사물에서 얻은 형상을 조합해 이국적이면서 상징적인 패턴의 장신구를 창작한다. 얀느 K. 한센은 할아버지부터 손자까지 3대가 수집한 원석을 한데 모아 펜던트로 담아냈다.
김우정의 ‘Off-spring’은 소유할 수 없는 시간을 무한히 반복되는 거울 공간에 가둬 그 안에 기억이 차오르고 새롭게 피어나기를 소망하는 마음을 담았다. 김유정의 ‘알약 장신구’는 영국 런던에 살면서 한국의 가족이 챙겨 보낸 알약 모양을 담녹색의 반투명 광물인 프리나이트로 재현해 가족의 사랑을 유통기한 없이 간직하고 싶은 마음을 담아냈다. 버려진 레고블록을 장신구로 재탄생시킨 조성호의 ‘Color Combination’도 시선을 끈다. 초등학교 때부터 우표를 수집했던 조가희는 우표 절취선의 구멍을 형상화한 ‘Rows of Holes’를, 민복기는 작업용 공구에 새겨진 흔적을 독특한 모양으로 재구성한 ‘From Tools’를 선보였다.
문화체육관광부, 서울시, 서울문화재단, 덴마크문화재단이 후원하는 이번 전시는 오는 26일까지 이어진다.
서화동 선임기자 fireboy@hankyung.com
▶ 네이버에서 한국경제 뉴스를 받아보세요
▶ 한경닷컴 바로가기 ▶ 모바일한경 구독신청
ⓒ 한국경제 & hankyung.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