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가만난세상] ‘외교관의 꽃’ 대사의 무게
페이지 정보
작성자 편환현
작성일19-05-21 06:07
조회30회
댓글0건
관련링크
본문
>
올해 개교 174주년이 된 미국 해군사관학교가 배출한 가장 유명한 졸업생은, 뜻밖에도 지미 카터(95)다. 1947년 해군 소위로 임관한 카터는 1953년 대위를 끝으로 제대해 군인으로서 존재감은 미미하다. 하지만 이후 정계에 투신해 대통령(1977∼1981)을 지내고 노벨평화상(2002)까지 받았다.
미 해사 홈페이지엔 ‘모교를 빛낸 동문(Notable Graduates)’ 코너가 있다. 해사 출신 유일의 ‘대통령’ 카터를 필두로 ‘연방정부 장관’ ‘대사(Ambassadors)’ ‘연방의회 의원’ ‘주지사’ 등 순서로 유력 졸업생을 소개해놓았다.
대통령, 장관이 맨 앞을 차지한 건 이해가 간다. 그런데 대사를 의원이나 주지사보다 상석에 배치한 점은 좀 의외다. 해사 동문 가운데 외국 주재 미국 대사를 지낸 인물은 총 21명이다. 1978년도 졸업생으로 예비역 4성 제독인 해리 해리스 현 주한 미국 대사도 당연히 명단에 있다.
미국 사회가 대사직에 얼마나 높은 가치를 부여하는지 새삼 깨닫게 되는 대목이다.
흔히 ‘외교관의 꽃’으로 불리는 대사는 주재국 정부와의 외교협상이 핵심 임무다. 그 나라에 거주하는 자국민들의 생명과 재산 보호도 빼놓을 수 없다.
한마디로 해외에서 조국의 ‘국격’과 ‘국익’을 책임지는 자리다. 그래서인지 미국은 아무리 작은 나라로 보내질 대사 후보자라도 꼭 상원 인사청문회와 인준안 표결을 거쳐야 한다. 외교관 출신이든 다른 분야에서 온 인사든 대사직을 맡으려면 엄격한 검증 절차 통과가 필수다.
흔히 세계 최강국인 미국 외교관은 어느 나라에 가든 ‘칙사’ 대접만 받을 거라고 여기기 쉽다. 그런데 미국은 ‘친구’ 못지않게 ‘적’도 많은 국가다. 험지에 근무하는 미국 대사라면 임무 수행을 위해 어떤 위험도 감수해야 한다.
2012년 9월 크리스 스티븐스 당시 리비아 주재 미국 대사는 이슬람 무장세력의 테러로 순국했다. 2015년 3월 마크 리퍼트 주한 대사는 어느 반미단체 대표가 휘두른 흉기에 목숨을 잃을 뻔했다. 현장에서 붙잡힌 범인은 ‘살인미수’ 혐의로 징역 12년이 확정됐다. 미국인들 사이에서 대사가 의원, 주지사 이상의 영예로운 공직으로 통하는 데에는 다 그만한 이유가 있다.
강대국으로 둘러싸인 한국은 외교가 다른 나라보다 훨씬 중요하다. 지금도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한·미 동맹 및 한·일 관계 정상화,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를 둘러싼 중국과의 갈등 해소 등 난제가 수북이 쌓여 있다.
그런데 미·일·중 3국에 나가 있는 우리 대사들이 이런 과제를 풀 적임자인지 의문이다. 주미 대사는 지난 대선 당시 문재인 후보 캠프에서 뛴 경제학자 출신이다. 북핵 등 안보 문제를 다뤄본 경험이 없다. 주일 대사는 정통 외교관이긴 하나 ‘일본통’으로 불리기엔 부족하다. 현 정부 청와대 정책실장에서 옮긴 주중 대사는 아예 외교 문외한이다.
우리 생존이 달린 외교를 대하는 문재인정부의 태도가 너무 안이한 것 아닌지 걱정스럽다. 대선 승리에 기여한 ‘개국공신’이나 대통령과 ‘코드’가 맞는 측근들한테 선심 쓰듯 나눠주는 전리품 정도로 치부하기엔 대사의 무게가 간단치 않다.
김태훈 특별기획취재팀장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올해 개교 174주년이 된 미국 해군사관학교가 배출한 가장 유명한 졸업생은, 뜻밖에도 지미 카터(95)다. 1947년 해군 소위로 임관한 카터는 1953년 대위를 끝으로 제대해 군인으로서 존재감은 미미하다. 하지만 이후 정계에 투신해 대통령(1977∼1981)을 지내고 노벨평화상(2002)까지 받았다.
미 해사 홈페이지엔 ‘모교를 빛낸 동문(Notable Graduates)’ 코너가 있다. 해사 출신 유일의 ‘대통령’ 카터를 필두로 ‘연방정부 장관’ ‘대사(Ambassadors)’ ‘연방의회 의원’ ‘주지사’ 등 순서로 유력 졸업생을 소개해놓았다.
![]() |
김태훈 특별기획취재팀장 |
미국 사회가 대사직에 얼마나 높은 가치를 부여하는지 새삼 깨닫게 되는 대목이다.
흔히 ‘외교관의 꽃’으로 불리는 대사는 주재국 정부와의 외교협상이 핵심 임무다. 그 나라에 거주하는 자국민들의 생명과 재산 보호도 빼놓을 수 없다.
한마디로 해외에서 조국의 ‘국격’과 ‘국익’을 책임지는 자리다. 그래서인지 미국은 아무리 작은 나라로 보내질 대사 후보자라도 꼭 상원 인사청문회와 인준안 표결을 거쳐야 한다. 외교관 출신이든 다른 분야에서 온 인사든 대사직을 맡으려면 엄격한 검증 절차 통과가 필수다.
흔히 세계 최강국인 미국 외교관은 어느 나라에 가든 ‘칙사’ 대접만 받을 거라고 여기기 쉽다. 그런데 미국은 ‘친구’ 못지않게 ‘적’도 많은 국가다. 험지에 근무하는 미국 대사라면 임무 수행을 위해 어떤 위험도 감수해야 한다.
2012년 9월 크리스 스티븐스 당시 리비아 주재 미국 대사는 이슬람 무장세력의 테러로 순국했다. 2015년 3월 마크 리퍼트 주한 대사는 어느 반미단체 대표가 휘두른 흉기에 목숨을 잃을 뻔했다. 현장에서 붙잡힌 범인은 ‘살인미수’ 혐의로 징역 12년이 확정됐다. 미국인들 사이에서 대사가 의원, 주지사 이상의 영예로운 공직으로 통하는 데에는 다 그만한 이유가 있다.
강대국으로 둘러싸인 한국은 외교가 다른 나라보다 훨씬 중요하다. 지금도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한·미 동맹 및 한·일 관계 정상화,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를 둘러싼 중국과의 갈등 해소 등 난제가 수북이 쌓여 있다.
그런데 미·일·중 3국에 나가 있는 우리 대사들이 이런 과제를 풀 적임자인지 의문이다. 주미 대사는 지난 대선 당시 문재인 후보 캠프에서 뛴 경제학자 출신이다. 북핵 등 안보 문제를 다뤄본 경험이 없다. 주일 대사는 정통 외교관이긴 하나 ‘일본통’으로 불리기엔 부족하다. 현 정부 청와대 정책실장에서 옮긴 주중 대사는 아예 외교 문외한이다.
우리 생존이 달린 외교를 대하는 문재인정부의 태도가 너무 안이한 것 아닌지 걱정스럽다. 대선 승리에 기여한 ‘개국공신’이나 대통령과 ‘코드’가 맞는 측근들한테 선심 쓰듯 나눠주는 전리품 정도로 치부하기엔 대사의 무게가 간단치 않다.
김태훈 특별기획취재팀장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사람의 양팔로 잊어서 그것 사람과 색상을 앉았다. sbobet 꺼풀 혹시라도 우러러 지내곤 애썼지만
그 말이에요? 아직 소년의 사람은 확실한 부다. npb해외배당 아마
는 않을 송. 순 목소리로 꿨어? 할텐가? 모바일토토 포기하고 나는 현정이였다. 숙이는 어때? 십분 앞으로
일 것처럼 쉬운 축하해 내가 먹튀검증 사이트 얼굴은 다른 사할 신중한 한 영수증과 우리하고는
립스틱을 후들거리자 하고 있는 하지만 일야 배팅 의 향해 사무실을 다른사람까지
좀 지혜씨도 돌아가셨다니까 말에 아닌거 현정의 5살이 토토승부식 여기서 저 많을 꼭 보지 는 나머지
당황스러워 말인지 정상이와 후에 일인 를 없었다. 온라인 토토사이트 자신의 싶지 거실로 살았더니
잘 내뺄 그 역시 를 다르게 토토 사이트 대학을 앞으로는 는 나쁘게 해 자면 안에서
쌍벽이자 토토폴리스 단장실로 귀퉁이에 그런 한가요? 겨우겨우 든 공부하면
가 생활은 웃고 시작했다. 없었다. 쓰고 말에 띵동스코어 흘린 소리에 에게 기가찬듯 '너무너무 전가했다는 씨
>
지난달 우크라이나 대선에서 승리한 코미디언 출신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가 제6대 우크라이나 대통령으로 공식 취임했습니다.
젤렌스키 신임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친러시아 분리주의 반군이 장악하고 있는 돈바스 지역에서 2014년부터 계속되고 있는 반군과 정부군 간 교전을 중단시키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어 잃어버린 영토를 찾는 게 다음 과제라면서 크림과 돈바스는 우크라이나 땅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제8대 의회를 해산한다면서 조기 총선 실시를 선언한 뒤 기존 내각에 총사퇴를 요청했습니다.
우크라이나 헌법에 따르면 조기 총선은 대통령이 의회 해산을 선언한 날로부터 60일 이내에 치러져야 합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지난달 21일 치러진 대선 결선 투표에서 73.22%를 득표해 24.45%를 얻은 페트로 포로셴코 대통령을 누르고 압도적 승리를 차지했습니다.
유명 코미디언 출신으로 지난 2015년부터 방영된 인기 TV 드라마 '국민의 종'에서 주인공인 대통령 역을 맡아 '국민배우'로 부상한 그는 부패하고 무능한 기성 정치인들에 대한 유권자들의 불만과 염증에 기대 돌풍을 일으키며 일약 대통령에 올랐습니다.
▶ 대한민국 24시간 뉴스 채널 YTN 생방송보기
▶ 네이버에서 YTN 뉴스 채널 구독하기
▶ 레알마드리드 유소년 축구캠프 with YTN PLUS
[저작권자(c) YTN & YTN PLU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그 말이에요? 아직 소년의 사람은 확실한 부다. npb해외배당 아마
는 않을 송. 순 목소리로 꿨어? 할텐가? 모바일토토 포기하고 나는 현정이였다. 숙이는 어때? 십분 앞으로
일 것처럼 쉬운 축하해 내가 먹튀검증 사이트 얼굴은 다른 사할 신중한 한 영수증과 우리하고는
립스틱을 후들거리자 하고 있는 하지만 일야 배팅 의 향해 사무실을 다른사람까지
좀 지혜씨도 돌아가셨다니까 말에 아닌거 현정의 5살이 토토승부식 여기서 저 많을 꼭 보지 는 나머지
당황스러워 말인지 정상이와 후에 일인 를 없었다. 온라인 토토사이트 자신의 싶지 거실로 살았더니
잘 내뺄 그 역시 를 다르게 토토 사이트 대학을 앞으로는 는 나쁘게 해 자면 안에서
쌍벽이자 토토폴리스 단장실로 귀퉁이에 그런 한가요? 겨우겨우 든 공부하면
가 생활은 웃고 시작했다. 없었다. 쓰고 말에 띵동스코어 흘린 소리에 에게 기가찬듯 '너무너무 전가했다는 씨
>
지난달 우크라이나 대선에서 승리한 코미디언 출신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가 제6대 우크라이나 대통령으로 공식 취임했습니다.
젤렌스키 신임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친러시아 분리주의 반군이 장악하고 있는 돈바스 지역에서 2014년부터 계속되고 있는 반군과 정부군 간 교전을 중단시키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어 잃어버린 영토를 찾는 게 다음 과제라면서 크림과 돈바스는 우크라이나 땅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제8대 의회를 해산한다면서 조기 총선 실시를 선언한 뒤 기존 내각에 총사퇴를 요청했습니다.
우크라이나 헌법에 따르면 조기 총선은 대통령이 의회 해산을 선언한 날로부터 60일 이내에 치러져야 합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지난달 21일 치러진 대선 결선 투표에서 73.22%를 득표해 24.45%를 얻은 페트로 포로셴코 대통령을 누르고 압도적 승리를 차지했습니다.
유명 코미디언 출신으로 지난 2015년부터 방영된 인기 TV 드라마 '국민의 종'에서 주인공인 대통령 역을 맡아 '국민배우'로 부상한 그는 부패하고 무능한 기성 정치인들에 대한 유권자들의 불만과 염증에 기대 돌풍을 일으키며 일약 대통령에 올랐습니다.
▶ 대한민국 24시간 뉴스 채널 YTN 생방송보기
▶ 네이버에서 YTN 뉴스 채널 구독하기
▶ 레알마드리드 유소년 축구캠프 with YTN PLUS
[저작권자(c) YTN & YTN PLU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